1. 강성 그리드

강성 그리드의 재질은 일반적으로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이고 형태는 일축 신장형으로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주로 제조 시에 사전에 신장 변형을 가하여 생산하므로 시공 후 신장 변형을 최소화시킵니다.

(일부 그리드에서는 자외선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원료 자체에 카본을 첨가하기도 합니다)

장점으로는 화학적 생불학적 자외선에 안전하며 부식우려가 적습니다.

 

 블록의 주재료인 Cement 성분에서 배출될 수 있는 Calcium Hydroxide(ca(oH) 2)에 대해 안정성이  있습니다. 토양 PH에 대한 제한도 적습니다. 성토재료의 최대치수가 클 경우에도 우수한 내구성을 가집니다.

일반적으로 강성그리드에는 고강도 유리섬유핀을 사용하여 연결하그로 보강재와 보강토블록의 결속성이 우수합니다. 일체형의 지오그리드로 시공 중 시공손상의 우려도 적습니다.

내화학적 특성에도 강합니다.

 

우리나라에도 보강토블록 도입 초기에는 많이 사용하였으나 경제성에서 다소 떨어져 지금은 많이 사용하지 않습니다.

강성 그리드(일체형)

2. 연성 그리드

연성 그리드의 재질은 폴리에스테르(PET)이고 형태는 결합형입니다. 일체형이 아닌 가로 세로 섬유를 결합한 형태입니다.

자외선을 차단한 카본 블랙을 함유하지 않아 장시가 자외선에 노출 시 부식될 수 있습니다. 대부분 보강토블록의 형태가 전탄키형태로  블록과의 결합력이 취약합니다. 또한 보강토옹벽 시공 중 다짐 작업 시 PVC 코팅 부분이 손상이 우려됩니다. 이로 인해 생물학적 화학적으로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

그리드 위사와 경사의 접합점이 일체화되지 않아 상호 결속력도 저하됩니다.

 

보강재와 블록, 블록과 블록의 결속력이 떨어지고 다짐 시 보강재(그리드)의 손상이 커 놓은 옹벽에는 추천하지 않습니다.

 

온도 변화에 따른 신율이 다른 그리드에 비해 높습니다. 다짐재(토사)의 입도에 따라 손상정도가 커 양질의 토사로 시공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최근에 전원주택이나 아파트 단지에 많이 시공하고 있는 그리드입니다. 인증되지 않은 중국산 저품질의 그리도 많이 수입되고 있어 건설업자의 주의가 필요한 제품입니다. 반드시 전문기관의 테스트를 걸쳐 보고서가 있는 제품 사용을 권장합니다.

 

연성 그리드(결합형)

 

보강토블록에 대해 궁금하신 것이 있다면 언제라도 연락 주세요.

저희는 보강토옹벽 설계 시공 보수를 전문으로 하는 특허를 보유한 업체입니다.

 

라파이엔씨(주) 043 211-2977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