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24년 만에 찾아온 최악의 폭염으로 인한 시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인력과 장비, 시설을 총동원한 폭염대책 추진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폭염주의보가 발령된 지난 12일부터 폭염종합지원상황실을 운영하고 있다.

 

폭염경보로 격상된 16일부터는 노숙인, 홀몸어르신, 쪽방촌 주민 등 폭염 취약계층 보호지원, 시설물 피해예방안전조치, 긴급구조구급 활동 등을 지원하고 있다.

 

폭염특보는 폭염주의보와 폭염경보로 나눈다.

폭염주의보는 일최고 기온이 33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효한다.

폭염경보는 일최고 기온이 35이상인 상태가 2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발효하고 있다.

 

시는 최고 38까지 올라가는 한낮에 거리를 헤매는 노숙인을 적기에 지원하기 위해 서울역 같은 거리 노숙인 밀집지역 순찰을 115회까지 늘렸다.

 

경로당, 주민센터 등 서울 전역 총 3,252개소를 무더위쉼터로 지정해 운영 중이다.

 

이번 폭염으로 지난 5월 20일부터 7월 23일까지 집계된 전국의 온열질환자는 1303, 사망자는 14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는 온열질환자 738, 사망자 4명이었다. 올해는 지난해에 비해 각각 1.8, 3.5배 이상 증가했다.

 

시는 재난도우미’ 2만47명을 투입해 폭염에 취약한 독거어르신, 장애인 등 폭염 취약계층 가정을 방문해 건강상태를 살피고 안부를 확인하고 있다.

 

노숙인 전용 무더위쉼터는 16개소가 운영 중이다. 하루 평균 952명이 이용 중이다.

 

고령·중증질환 등 건강이 취약한 노숙인을 치료, 시설입소, 임시주거 등 특별관리 중이다.

 

노숙인 위기대응콜(1600-9582)도 24시간 운영하고 있다.

 

쪽방촌 주민을 위한 무더위쉼터 6곳을 운영 중이다.

쪽방촌 12개 지역에 간이 응급의료소를 설치, 주민들에게 응급약품을 제공하고 온열환자 건강확인 등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서울에너지복지시민기금을 통해 에너지취약계층 1만가구에 4억원 상당의 냉방물품 및 전기요금을 지원했다.

 

폭염이 장기화됨에 따라 기업과 함께 에어컨, 선풍기, 전기요금 등 6000만원 상당의 냉방물품과 전기요금을 추가 지원했다.


경로당, 복지회관, 주민센터 등 무더위쉼터로 지정된 3,252곳 가운데 427곳을 연장쉼터로 지정해 폭염특보 발령시 평일휴일 21시까지 연장 운영한다.

 

지역내 소방서와 119안전센터 117곳엔 119폭염휴게실을 운영해 시민들이 무더위를 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서울 전역 교통섬과 횡단보도 1023곳에 그늘막도 설치했다.

 

서울시가 마련한 횡단보도 그늘막 설치 가이드라인에 따라 8월 초까지 181개를 추가 설치 예정이다.

 

도로 살수, 인공냉각구역 설치 등을 통해 폭염으로 달궈진 도심 온도 낮추기에 나섰다.

한낮 시간대 도로살수는 폭염특보기간 동안 총 1025대의 물청소차를 동원해 5만2469톤의 물뿌리기 작업을 실시했다.

 

김학진 서울시 안전총괄본부장은 이번 폭염은 유례없이 길고 무더울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시민들의 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폭염 시엔 야외활동을 가급적 자제하는 등 여름철 건강관리에 각별히 유의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